2020년 12월 7일 24절기 21번째 중 절기 겨울의 대설(大雪) 이란?
- 기타 인포
- 2020. 12. 7.
2020년 12월 7일 24절기 21번째 중 절기 겨울의 대설(大雪) 이란?
24절기 중 21번재 절기 겨울의 대설이란 무엇일까?
오늘 12월 7일은 24절기 중에 21번째 절기인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인 대설이라고 하는데요 양력으로 12월 7일, 8일 경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래에서 대설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먼저 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서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한 해를 스물 넷으로 나눈 계절입니다. 겨울의 절기로는 입동,소설,동지,대한,소한,대설 이렇게 6가지 절기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설이란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인데요 하지만 오늘은 눈이 오질 않았지요? 그 이유는 이 24절기의 기준은 중국 화북지방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이 24절기가 많이 맞지 않은 경우 가 많습니다.
대설은 겨울의 절기중 3번째 순서로 동지와 함게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고 하는데요, 이 날 눈이 많이오면 다음 농사에 풍년이 들고 더 따뜻한 겨울나기가 가능 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대설과 관련된 말로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라는 말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대설에 눈이 적게 오면 기우제 처럼 눈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기설제를 드리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대설에 먹는 음식 : 대설에 먹는 음식으로는 호박죽이 있습니다. 호박은 위장을 보호하고 독소를 밖으로 배출 시켜주는 효능이 있으며 효과도 잇어서 감기에 걸리기 쉬운 겨울에 아주 좋은 음식이라고 합니다.
또한 제가 정말 좋아하는 바다에 스태미너 음식인 굴 또한 있는데요, 굴은 비타민,철분,요오드,칼슘 등 몸에 좋은 영양분이 풍부하고 겨울철 건강식으로 아주 일품입니다.
세번째는 바로 고구마입니다. 고구마는 야맹증이나 시력을 강화시켜주는 카로틴이 들어있고 칼륨도 많아서 염분을 배출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여러 성인 병에도 좋으며 다이어트에도 좋아서 식사대용으로도 좋은 음식입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대설에 대한 속담과 뜻 그리고 24절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정말 날씨가 점점 추워지고 이제 곧있으면 눈도 많이 올텐데 여러분들도 코로나 때문에 힘든 시기 더 더욱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눈이 많이오면 피해를 보는 곳도 많지만 그래도 적당히 오는 첫눈을 보고싶은 감성이 생기는 겨울이네요 이번 겨울은 특히 건강 챙기시고 대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좋은 정보 얻어가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정의로운사회운동가 ENFJ 유형 특징과 팩폭, 궁합 알아보기 (0) | 2021.08.12 |
---|---|
성탄절 및 메리 크리스마스 뜻과 의미 (0) | 2020.12.23 |